위인에게배우다
HOME > 정신건강정보 > 위인에게배우다
[아인슈타인] 멈추지 않는 학구열로 상대성이론을 확립하다.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16-08-29 오후 1:08:53 |
이메일 | unit324@suwonmental.org | 조회수 | 38 |
아인슈타인의 학구열
멈추지 않는 학구열로 상대성이론을 확립한 알버트 아인슈타인
아인슈타인이 ‘희대의 천재’라고 불려도 부족함이 없는 위인으로 손꼽히는 인물입니다. 하지만
천재라고 불리는 아인슈타인은 세 살이 될 때까지 말을 한 마디도 하지 못했다고 해요.
위인에게 배우다. 그 세 번째.
멈추지 않는 학구열로 어려움을 극복한 아인슈타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알버트 아인슈타인(이하 아인슈타인)은 독일의 뷔르템베르크 주 울름에서 전기 공장 사장이었던 유대인 아버지와 독일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 평범한 가정에서 평범하게 자라던 아인슈타인은 청소년기에 숙부의 영향으로 수학과 물리학에 취미를 갖게 됩니다. 이때부터 과학에 심취하게 된 것입니다.
연방 공과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한 후에는 베른에 있는 특허 사무소에서 심사관으로 근무합니다
. 특허 사무소의 직원으로 일하면서도 발명품을 검사하지 않을 때에는 계속해서 물리학을 연구했을 정도로 물리학에 열정적이었습니다.
이와 같은 열정 덕분에 1905년에는 독일의 물리학 연보에 논문 다섯 편을 연달아 발표하게 되는데 ?이 논문이 바로 갈릴레이와 뉴턴의 역할을 송두리째 흔들어 놓은 -빛이 에너지 덩어리로 구성되어 있다는 광양자설과 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종래의 시공간 개념을 근본적으로 변혁시켰고, 철학사상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아인슈타인이 발표한 특수상대성이론이 널리 알려짐에 따라 아인슈타인 이름 역시 널리 알려지게 됩니다
.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이론을 보다 널리 확장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합니다.
그 결과, 1920년대에는 세계적인 물리학자로 명성을 얻고 최고의 상이라고 불리는 ‘노벨물리학상’까지 수상하게 됩니다.
화려하게만 보이는 그의 업적. 하지만 그에게도 어릴 적부터 많은 고난이 있었습니다.
먼저, 아인슈타인은 세 살이 될 때까지 말을 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남들보다 언어 능력이 뒤쳐졌습니다
. 또, 학교에 입학한 후에는 판에 박힌 학습과 교육방식을 경멸하여 무례한 행동을 보여 학습 지진아로 낙인찍히기도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그 시절 아버지의 사업 부진으로 울름에서 뮌헨으로 이사도 하게 되는데, 이 때 유럽인들의 뿌리 깊은 반유대주의 사상으로 상처를 받으며 성장합니다.
?어린 시절 경험한 반유대주의 사상이 아인슈타인이 존경 받는 과학자가 된 후에도 그를 괴롭혔을 정도라고 하니, 그가 받은 상처가 얼마나 깊었을지 예상이 됩니다.
청소년기에 접어들어서는 군대식 전체주의 교육에 저항하여 반항적인 학생으로 여겨졌습니다.
?또한 이때까지도 아버지의 사업부진이 계속되어 이탈리아로 건너가게 됩니다. 그러나 이곳에서도 개성과 흥미, 능력을 무시하는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결국은 자퇴를 선택합니다.
하는 수없이 독학으로 공부하며 대학 낙방도 경험하고, 어렵사리 들어간 대학을 졸업한 뒤에는 취업 자리를 얻지 못해 오랜 시간 고생합니다.
?또, 대학동창이자 공동 연구자였던 밀레바 마릭과 결혼하지만 행복하지 못한 결혼생활로 이혼까지 경험합니다.
아인슈타인의 고난은 말년까지도 이어집니다.
?말년에는 히틀러가 독일 집권자가 되어 반나치 운동을 주장한 아인슈타인은 독일 시민권을 포기하고 미국으로 망명하고, 모든 재산은 나치 독일에 의해 압류 당합니다.
이처럼 아인슈타인은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해 자퇴를 선택하고, 대학 낙방도 경험합니다.
?또, 부모님의 사업 부진으로 잦은 이사를 하며 반유대주의 사상으로 상처받고, 사랑하는 여인과의 이혼으로 절망에도 빠집니다.
?뿐만 아니라 말년에는 독일에 의해 전 재산까지 압류당합니다. 결코 녹록치 않은 삶을 산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도 아인슈타인을 성장시킬 수 있었던 힘은 바로, 학업에 대한 열정!
학구열이었습니다.
아인슈타인은 학교에서는 지진아로 낙인 찍혔을지언정,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는 끝까지 파고드는 성향이었습니다.
?그래서 대학에 낙방했을 때 그의 뛰어난 수학 성적을 눈여겨본 학장의 배려로 1년간 아라우에 있는 자유로운 분위기의 고등학교에서 공부하고, 대학시험 낙방에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공부에 몰입한 끝에 연방 공과대학교에 입학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상대성이론을 확립하며 물리학의 창시자로 우뚝 서게 되었고, 노벨물리학상까지 수상하게 된 것입니다.
만약 아인슈타인에게 학업에 대한 열정이 없었다면 어땠을까요? 마음에 들지 않는 교육방침에 불만을 품고, 자신의 능력은 전혀 개발하지 못한 채 성장하게 되는 불운한 결과를 낳지 않았을까요?
알버트 아인슈타인이 지금의 위인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넘치는 학구열이 만들어놓은 결과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
* 참고문헌 : 두산백과, 위키백과, 네이버캐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