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정신증

HOME > 정신건강평가 > 대표증상/자가검진 > 성인 > 조기정신증

개념
뚜렷한 정신병적 증상이 드러나기 이전의 상태(전구기)를 포함하여, 뚜렷한 증상이 발현 된 시점부터 최대 5년까지의 시기를 ‘결정적 시기’로 봅니다. 많은 정신증 환자들이 이 시기에 기능적 손상이 심해지는 상태로 병의 진행단계를 밟아가게 되었으며, 5-10년이 지난 이후에는 병의 진행 경과에 변동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정적 시기의 적절한 치료와 교육의 제공은 회복을 촉진하고 만성화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최상의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결정적 시기의 환자들을 조기정신증(Early Pshychosis)이라 합니다.
조기정신증은 하나로 정의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정신증은 일종의 증후군이며 이것은 증상의 유형과는 다릅니다. 그리고 여러 가지 다른 원인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정신분열증은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하는 다양한 질환 중 하나라는 것을 유념해야 합니다. 발병 초기에 보이는 증상과 징후만으로 명확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어렵습니다. 초기에 내려진 진단은 병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두드러진 증상이 나오면서 진단이 보다 명확해 질 수 도 있고 어떤 경우에는 첫 진단명에서 다른 진단명으로 바뀔 수도 있습니다.
특징
  • 15-30세 사이의 청년기 또는 초기 성인기 젊은 사람들이다.
  • 정신질환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 놀랍고 당혹스런 낯선 증상들로 인해 극도의 불안이나 심리적 고통을 호소한다.
  • 이용할 만한 정신보건서비스나 제공되는 서비스의 내용을 모른다.
  • 정신질환의 가능성을 부정하거나 자신과 상관없는 일로 무시한다.
  • 정신병적 증상을 청년기의 정상적인 행동으로 오인할 수 있다.
  • 정신병의 경과가 서서히 전개되어 진단하기 어렵다.
  • 입원이나 투약을 포함한 정신치료를 신뢰하지 못하거나 두려워한다.
  • 항정신병 약물에 노출된 적이 없으며, 부작용에 더욱 민감하다.
조기정신증의 진행 단계 및 치료
1) 전구기 prodromal phase
전구기는 비특이적 증상, 미묘한 행동변화 또는 기능변화 또는 기능변화가 시작된 시점부터 명백한 정신병적 증상의 발현까지의 시기를 말합니다. 전구증상은 정신병이 발생된 이후에야 비로소 과거의 병전 병력을 통해 정의될 수 있고 발병 직전의 변화를 추적해봄으로써 전구증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구기의 지속 기간은 며칠에서 몇 년까지 상당히 다양하며, 전구기 때 나타나는 비특이적인 징후와 행동의 양상으로는 집중력 저하, 의심, 동기 저하, 에너지 저하, 흥미의 상실, 우유부단, 기능 저하 등을 들 수 있습니다.

2) 급성기 Acute phase
급성기는 망상, 환각, 사고의 장애와 같은 정신병적 증상이 분명하게 드러나는 시기입니다. 이러한 급성증상으로 인해 종종 정신보건서비스의 첫 접촉이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이 시기에는 약물치료가 빠른 시일 내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정신사회적 회복을 위한 여러 가지 치료 목표를 세워야 합니다.

3) 회복기 Recovery phase
급성기의 증상이 조절되면서 회복기를 맞이하게 된다. 회복기는 보통 첫 발병 후 약 일 년 정도 경과한 시점을 말합니다.
치료를 시작한 시점부터 최고로 호전되기까지의 기간이 평균 36주, 중앙값은 11주이며 초발 정신병 환자의 80%는 치료 6개월 이내에 양성증상이 완전히 호전됩니다. 118명의 초발 정신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에서 12개월째에 87%가 항정신병약제에 반응(Koreen 등 ,1996)한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70%는 2-3년 내 재발하고(Gilbert 등, 1995),50%는 10개월 내 약물을 중단한다고 합니다.
첫 발병의 경우 증상의 호전률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장기간의 유지치료를 반드시 권장하지는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전문가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초발정신병 에피소드에서 회복된 후 적어도 1년 혹은 2년 정도 유지한 뒤에 약물치료의 중단을 조심스럽게 고려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회복이 극대화되는 반면 약물의 감소 및 중단과 더불어 맞게 되는 새로운 적응과정에서 스트레스원이 증가될 수 있고 그에 따른 재발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는 시기이므로 재발의 예방을 위한 전략적 개입이 필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발췌 : 지역사회 정신보건전문가를 위한 안내서)